티스토리 뷰

목차



    2025년 기초연금이 달라집니다! 선정 기준, 지급액, 근로소득 공제, 국민연금 감액 기준 등 중요한 변화 7가지를 정리했습니다. 기초연금을 신청하려면 꼭 알아야 할 변경 내용을 확인하고, 수급 가능성을 높이는 전략까지 함께 살펴보세요!

     

     

    2025 기초연금 7가지 핵심변화
    2025 기초연금 7가지 핵심변화

     

     

    여러분~ 2025년 기초연금, 이렇게 바뀝니다!

     

    기초연금은 노후 생활 안정을 위한 중요한 제도입니다. 2025년에는 근로소득 공제금액 인상,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상향, 기준연금액 조정 등 여러 가지 변화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특히 소득인정액 기준이 올라가면서 2024년에는 탈락했던 분들도 2025년에는 새롭게 신청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2025년 기초연금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 7가지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중요도 순으로 정리했으니, 하나씩 확인해 보세요!

     

     

     

     

    1. 기초연금 선정기준액 인상

     

    기초연금 선정기준액이란, 기초연금 수급 자격을 결정하는 기준 금액입니다. 소득인정액이 이 기준 이하라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25년 선정기준액 변경

     

    구분 2024년 2025년 인상폭
    단독가구 213만 원 228만 원 +15만 원 
    부부가구 340.8만 원 364.8만 원 +24만 원

     

    소득인정액은 단순한 월 소득이 아니라 근로소득, 연금, 금융재산, 부동산 등도 포함되어 계산됩니다.

     

    만약 소득인정액을 계산하는 다양한 예시가 궁금하시면 아래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소득인정액을 계산하시는데 도움이 되실 거예요.

     

     

     

     

    선정기준액이 인상되면서, 2024년에는 탈락했던 분들도 2025년에는 수급 자격을 얻을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그러니 2024년에 신청했다가 탈락했던 분들도 꼭 다시 신청하세요!

     

     

    2. 기준연금액 인상

     

    기초연금을 받게 되면 최대 기준연금액까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에는 기준연금액이 인상되어 더 많은 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25년 기초연금 기준연금액 변경

     

    구분 2024년 2025년 인상폭
    단독가구 33만 4,810원 34만 3,510원 +8,700원
    부부가구 53만 5,680원 54만 9,600원 +13,920원

     

    ※ 기존 기초연금 수급자는 자동으로 인상된 금액을 받게 됩니다.

     

     

    3. 근로소득 공제금액 인상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을 계산할 때, 근로소득이 있다면 일정 부분을 공제해 줍니다. 2025년부터 이 공제금액이 인상됩니다.

     

    📌 2025년 근로소득 공제 변경

     

    구분 2024년 2025년 인상폭
    기본공제액 110만 원 112만 원 +2만 원
    추가 공제율 30% 30% -

     

    📌 예시: 월 400만 원의 근로소득이 있을 경우

    (400만 원 - 112만 원) × 70% = 201.6만 원

     

    따라서 201.6만 원이 소득인정액에 반영됩니다.

     

    또 근로소득이 있는 경우, 2025년에는 소득공제가 늘어나면서 기초연금 수급 가능성이 조금 더 올라갑니다.

     

     

     

     

    4. 국민연금연계감액 기준 변경

     

    기초연금은 국민연금을 일정 금액 이상 받으면 감액될 수 있습니다. 2025년에는 국민연금 감액 기준도 변경됩니다.

     

    📌 2025년 국민연금 감액 기준

    • 기준연금액(34만 3,510원)의 150% 초과 시 감액 적용
    • 51만 5,260원 초과 시, 최대 50% 감액

    ✔ 국민연금을 많이 받는 분들은 감액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
    ✔ 임의가입, 추납 등을 할 때 기초연금 감액 기준을 고려해야 합니다.

     

     

    5. 자연적 소비금액 변경

     

    자연적 소비금액이란, 증여나 재산 처분으로 인해 발생한 감소분을 매월 일정 금액씩 차감해 주는 제도입니다.


    2025년에는 소득인정액에서 자연적 소비금액을 반영하는 기준도 변경됩니다.

     

    📌 2025년 자연적 소비금액

     

    구분 2024년 2025년
    단독가구 2,357,329원 2,512,677원
    부부가구 2,864,957원 3,048,887원

     

    📌 자연적 소비금액 적용 방식 (예시)

     

    예제 : 부부가구이면서 기초연금 신청 전 1억 원을 두 자녀에게 각각 5천만 원씩 증여한 경우

     

    1. 증여 시점부터 기초연금 신청까지 경과한 기간을 계산

    • 예를 들어 6개월 전에 증여했다면 → 자연적 소비금액이 6개월 동안 누적됨

    2. 자연적 소비금액을 누적하여 증여 재산에서 차감 

    • 자연적 소비금액 = 3,048,887원 × 6개월 = 18,293,322원

    3. 증여 재산에서 차감 후 남은 금액이 기타(증여)재산으로 간주

    • 기타(증여)재산 = 100,000,000원 - 18,293,322원 = 81,706,678원

    이렇게 남은 기타(증여)재산 81,706,678원이 소득인정액 계산 시 포함되어 기초연금 수급 여부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6. 공시가 반영 시점 변경

     

    • 매년 3월 발표되는 공시가격이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에 반영됩니다.
    • 2024년 3월에 발표한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2025년 4월부터 기초연금 소득인정액에 반영됩니다.

    ✔ 따라서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다면 공시가 상승이 소득인정액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 신청 가능 연령

     

    • 2025년에 만 65세가 되는 1960년생부터 기초연금 신청 가능
    • 생일이 속한 달의 전 달 1일부터 신청 가능
      • 예: 1960년 7월생 → 2025년 6월 1일부터 신청 가능

    📌 신청할 때 꼭 알아야 할 점!

    • 만 65세 생일이 속한 달까지 신청해야 소급 지급 가능
    • 배우자가 있는 경우, 배우자의 금융정보 제공 동의 필요

     

     

     

     

    2025년 기초연금, 꼭 신청하세요!

     

    2025년 기초연금은 선정기준액과 지급액이 인상되면서 더 많은 사람이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2024년에 신청했다가 탈락했던 분들도 선정기준액이 높아진 만큼 다시 신청할 필요가 있습니다.

     

    근로소득이 있다면 공제금액이 늘어나면서 소득인정액이 낮아질 가능성이 커졌고,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 분들은 감액 기준을 꼭 확인해야 불이익을 피할 수 있습니다.

     

    기초연금은 신청해야만 받을 수 있는 제도이기 때문에, 자격이 될 가능성이 있다면 망설이지 말고 꼭 신청해 보세요.

     

    2025년에는 더 많은 분들이 기초연금 혜택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

    "혹시 이런 정보 어떠세요?"

     

    기초연금 수급자격 총정리
    기초연금 수급자격 총정리
    예시로 알아보는 소득인정액
    예시로 알아보는 소득인정액

     

    반응형